UPDATED. 2024-03-29 13:35 (금)
엔비디아-ARM 中 규제당국에 M&A 승인 요청∙∙∙양사의 앞날은?
엔비디아-ARM 中 규제당국에 M&A 승인 요청∙∙∙양사의 앞날은?
  • 김지민 기자
  • 승인 2021.06.09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 “중국의 M&A 승인, 무리 없이 진행될 것”
반도체 업계, “애초 계획한 18개월보다 오래 걸릴 것” 예측
양사 M&A 불투명 전망∙∙∙퀄컴, 알파벳, MS 등 반대 표명
사진=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한국M&A경제] 미국 IT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영국 팹리스 기업 ARM 인수 작업이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영국 경제 매체 <파이낸셜타임즈(FT)>는 8일(현지시각) 엔비디아가 ARM과의 합병을 발표한 지 약 8개월 만에 중국 규제당국에 승인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엔비디아는 지난해 9월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ARM을 400억 달러(약 44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반도체 업계는 양사의 M&A가 18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중국 규제당국의 심사가 이제 막 시작됐다는 점을 보면 애초 엔비디아가 계획한 18개월보다 더 오래 걸린다는 게 반도체 업계의 시각이다. 

중국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 규제당국의 반도체 업계 승인 심사는 짧게는 12개월에서 길게는 18개월 정도 걸린다”며 “이미 8개월의 시간이 흘렀고 최종 승인까지 1년 정도 걸린다고 한다면 엔비디아와 ARM의 M&A는 늦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대표는 계획한 기간 안에 양사의 M&A가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엔비디아는 지난 2019년 3월 이스라엘 기술기업 멜라녹스(Mellanox)를 70억 달러(약 8조 5,000억 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으며 지난해 3월 최종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M&A 발표부터 최종 거래까지 약 13개월이 걸린 셈이다. 

젠슨 황 대표는 “중국은 다른 나라의 규제기관 승인 결과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며 “ARM 인수에 대한 승인도 무리 없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 관계자는 “추후 규제 절차나 M&A 진행 과정은 기밀”이라며 “이와 관련해 더는 해줄 말이 없다”고 언급했다. 

 

사진=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젠슨 황 대표의 추측과 달리 M&A 업계에서는 양사의 M&A가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퀄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술 기업이 국가 안보와 기술 유출 등을 이유로 양사의 M&A에 반대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지난 2월 퀄컴이 미국, 영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규제당국에 양사의 합병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퀄컴 측은 “양사의 합병이 완료되면 다른 반도체 기업이 ARM의 기술을 사용하기가 힘들어질 것”이라며 “ARM과 다른 기업의 거래 과정에서 엔비디아가 큰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패권 다툼으로 중국이 쉽게 승인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반도체 장비 기업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와 일본 고쿠사이일렉트릭은 2019년 이후 M&A를 지속해서 추진했지만, 중국 규제당국에 가로막혀 무산됐다. 

이보다 앞서 퀄컴 역시 2016년 네덜란드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 NXP를 인수하려고 했지만 중국의 반독점심사에 통과하지 못해 포기해야만 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는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하면 중국 기술 기업이 시장에서 큰 손해를 입는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며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중국이 양사의 M&A를 쉽게 허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과 영국, 유럽, 미국 등 규제당국은 엔비디아와 ARM의 M&A 심사를 진행 중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4월 엔비디아와 ARM의 기업결합을 가급적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밝혔으며 “양사의 M&A로 관련 시장을 봉쇄할 가능성이 있는지, 경쟁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영국 규제당국도 양사의 M&A가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 우려가 있는지 등을 조사 중이며 7월 말까지 법적∙경쟁적 쟁점과 국가안보 위협 가능성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다. 

[한국M&A경제=김지민 기자] kjm@kmnanews.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