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5:53 (금)
세계는 ‘스마트시티’ 구축 중∙∙∙“도시가 스마트해진다”
세계는 ‘스마트시티’ 구축 중∙∙∙“도시가 스마트해진다”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0.10.16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민의 편리하고 쾌적한 삶 위해 도시문제 해결 목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563건∙∙∙14% 전력부문 집중
아시아∙북미 국가의 스마트시티 구축 현황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성장동력 중 하나가 ICT(정보통신기술)이다. ICT와 도시가 결합하면 교통, 에너지, 환경 등 사회기반 서비스 영역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시티’(Smart City)는 ICT,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등 첨단 신기술을 접목해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는 미래형 도시모델이다. 도시민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리도록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내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가 2019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563건이 진행됐고 286개 도시가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을 도입했다. 프로젝트 중 14%는 전력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교통은 20%, 건물은 5%, 행정은 37%이며 24%는 복합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도시인구의 30% 이상 스마트 솔루션을 사용할 경우 스마트시티로 보고 있다. 세계 각국은 스마트시티를 미래성장동력으로 주목하면서 스마트시티 구축에 본격 나서고 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 아시아 국가, 국가경쟁력 강화 위한 정책 도입

중국, 인도, 싱가포르 등 아시아권 국가는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문제 해결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시티 정책을 도입했다.

중국 지방정부는 ‘제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1~2015)’를 통해 스마트시티 정책을 시작했다. ‘제1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6~2020)’부터는 중앙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2020년까지 중국 전역에 500개의 스마트시티 건설이 목표다.

주택도시농촌건설부(住房和城部)가 스마트시티 사업 대상 도시를 선정하면 3~5년 간 중앙정부가 주어진 예산 안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이후 심사 및 등급평가를 통해 1~3성의 스마트시티를 분류하며 성과를 측정한다.

화웨이(Huawei), 중싱통신(ZTE), 알리바바(Alibaba), 바이두(Baidu), 텐센트(Tencent) 등 중국 글로벌 기업이 스마트시티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고 있다. 통신장비제조업체 화웨이는 IoT(사물인터넷) 및 스마트 검침 솔루션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알리바바는 항저우를 대상으로 AI를 활용한 도시 운영 사업인 ‘시티브레인’(城市大)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항저우의 교통 정체를 약 15%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도시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대표적인 국가다. 국토연구원 김익회 책임연구원이 지난 2월 발표한 ‘스마트시티 정책, ‘해외 각국은 다 계획이 있구나’’에 따르면 오는 2050년 인도 도시에 8억 명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다. 인구 급증으로 나타난 도시문제를 인프라 구축만으로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아래 스마트시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2015년 「스마트시티 미션 강령 및 가이드라인」(Smart City Mission Statement & Guideline)을 발표하면서 2022년까지 100개의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들에게 삶의 질을 보장하며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의 도시를 촉진시키는 것이 목표다. 이후 MoHUA(주택∙도시개발부,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 Affairs)가 ‘시티 챌린지 컴피티션’(City Challenge Competition)을 통해 98개의 도시를 최종 선정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18년 뭄바이에 현지 대표사무소를 개소하면서 인도의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앞서 2017년 인도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의 깔리안–돔비블리 시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싱가포르는 2014년 리센룽(Lee Hsien Loong) 총리가 국가 핵심사업으로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을 선정하면서 스마트네이션 오피스를 설치하는 등이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민∙관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실행 가능하고 시민들의 체감도가 높은 솔루션을 우선 개발∙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싱가포르 내 대학 연구기관과 미국 MIT(매사추세츠주 공과대학) 등은 물론 국영통신기업 싱텔(Singtel), 미국 IBM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프랑스 다쏘시스템(Dassault Systems) 등의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도 활발하다.

2017년 인도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의 깔리안–돔비블리 시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출처: LH)
2017년 인도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의 깔리안–돔비블리 시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출처: LH)

◇ 캐나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중단∙∙∙개인정보침해 논란 불거져

한편 북미지역은 2015년을 기점으로 미국과 캐나다가 스마트시티 구축을 시작했다. 그러나 약 5년이 지난 지금 양국은 스마트시티 구축에 다른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2015년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Smart City Initiative)를 발표하면서 스마트시티 구축이 본격화됐다. ‘글로벌 시티 팀 챌린지’(Global City Teams Challenge)와 ‘스마트시티 챌린지’(Smart City Challenge)가 대표적인 프로그램인데 각각 NIST(국립표준기술원)와 DOT(교통부)가 주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 챌린지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통행 등 혁신적인 도시 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2016년 2월 기준 미국 내 78개의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콜럼버스 시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한 교통 시스템 개선 등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커넥티드 교통 네트워크 구축 및 공유 데이터 통합활용, 대중교통 이용자 서비스 개선, 전기차 인프라 구축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뉴욕 시는 민원서비스와 관련된 NYC311 데이터를 구축해 이를 연구기관 및 민간기업과 공유하는 등 시민들을 위한 솔루션 개발 지원도 한다.

캐나다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은 토론토(Toronto)에 스마트시티가 구축될 예정이었다. 토론토는 2017년 워터프론트(Waterfront) 지역 활성화를 위해 전 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공모사업을 진행했다. 이후 글로벌 IT 기업 구글(Google)의 자회사 사이드워크 랩스(Sidewalk Labs)를 파트너사로 선정하며 스마트시티 건설을 추진했다.  

그러나 지난 5월 캐나다 스마트시티 구축에 차질이 생겼다. 다니엘 닥터로프(Daniel Doctoroff) 사이드워크 랩스 대표가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당시 닥터로프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제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프로젝트를 접을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그 동안 캐나다 내에서는 스마트구축에 따른 개인정보침해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업계에서 이를 주된 이유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 CCLA(캐나다 자유인권협회)는 “센서 기반 데이터 수집 등이 필요한 스마트시티 사업이 개인정보 침해 및 유출의 우려가 있다”며 구글의 계약 무효를 주장했다. 정부를 상대로 소송까지 제기한 바 있다.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염현주 기자] yhj@kmnanews.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