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0:31 (화)
빨간불 켜진 현대重-대우조선 간 M&A, 최종 승인은 언제쯤?
빨간불 켜진 현대重-대우조선 간 M&A, 최종 승인은 언제쯤?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1.06.14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U집행위, 지난해 7월 양사 M&A 심층 조사 중단
한국조선해양, LNG운반선 독과점 우려 해소 방안 마련하지 않아
한국∙일본 공정위 심사 남아∙∙∙“끝까지 결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
사진=현대중공업
사진=현대중공업

[한국M&A경제] EU집행위원회가 상반기 내 현대중공업그룹과 대우조선해양 간 기업결합 심사에 대한 결론을 내기 어려울 전망이다. 양사의 인수합병(M&A)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EU집행위원회 산하 경쟁분과위원회 대변인 마리아 초니는 “지난해 7월 13일 위원회는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 인수에 대한 심층 조사를 중단했다”며 “조사는 여전히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재개 가능성 유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EU집행위원회는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등에 대한 독과점 우려를 해소할 만한 방안을 제대로 제출하지 않았다며 심사를 중단한 바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아직 LNG운반선 독과점 우려를 해소할 만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중공업이 EU집행위에 대우조선과의 기업결합 본 심사를 신청한 것은 지난 2019년 11월이다. EU집행위는 이듬해 6월 중간결과 보고서를 통해 “탱커, 컨테이너선, 해양플랜트 등에서는 경쟁제한 우려가 없다”면서도 “LNG운반선에는 우려가 크다”고 발표했다. 이후  한국조선해양은 경쟁제한 우려를 해소할 시정방안을 놓고 EU집행위와 협의를 지속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조선해양은 중소 조선사에 LNG운반선 건조 기술 이전이나 수년간 LNG운반선 가격 인상 제한 등 ‘행태적 조치’ 의견을 전달했지만 EU집행위는 지분 매각 등 ‘구조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EU집행위가 조건부 승인으로 지분 매각을 내세우더라도 한국조선해양이 이를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중공업 업계의 시각이다. 중공업 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선, LNG운반선 등은 같은 도크(dock)에서 만들어진다”며 “LNG운반선만 따로 매각한다면 분리매각 작업을 거쳐야 하고 그만큼 M&A를 추진하는 시간이 더 걸린다”고 설명했다. 

분리매각을 하더라도 LNG운반선만으로는 시너지 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등 중공업 업계에서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자칫하면 중국 등 경쟁사에 업계 선도 자리를 내줄 수 있다는 부정적인 시선도 있다. 

우선 현대중공업은 현재의 운영 방침을 유지하면서 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하기 위한 준비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기업결합 심사 결과가 나와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며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앞으로의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 더는 밝힐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한편 M&A 업계에서는 앞으로 양사의 기업결합이 난항의 연속일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2019년 7월 대우조선 인수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 심사를 제출했다. 공정위는 관련 시장의 획정, 경쟁제한성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승인 여부를 판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초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공정위의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간 기업결합 심사 결과를 5월 중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왔지만 6월 중순인 지금까지 별다른 결론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양사의 기업결합 심사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다른 경쟁당국의 결과도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중공업 업계 관계자는 “기업결합 심사가 늦어지는 만큼 발생하는 막대한 피해는 대우조선과 지역경제가 입게 된다”며 “유럽은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공정위는 다른 경쟁당국의 눈치를 보지 말고 기업결합과 관련된 승인을 하루빨리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은 중국, 일본,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에도 기업결합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2019년 10월 카자흐스탄, 지난해 8월 싱가포르, 12월 중국으로부터 기업결합 승인을 받았다. 남은 곳은 유럽과 한국을 비롯한 일본 등이다. 

일본 역시 양사의 기업결합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일본은 한국 정부의 조선산업 구조조정 관련 조치에 대해 WTO에 제소했고 양자 협의를 요청했다. 

익명을 요청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기업결합 심사에서 한 곳이라도 반대할 경우 사실상 M&A는 무산된다”며 “만장일치를 받아야만 최종 M&A가 완료되는데 유럽이나 일본과 관련된 이슈 외에도 또 다른 변수가 나올 수 있어 끝까지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M&A경제=염현주 기자] yhj@kmnanews.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