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1:14 (금)
“싱가포르도 승인”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중국만 남아
“싱가포르도 승인”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중국만 남아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1.07.22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싱가포르, 양사 M&A 무조건부 승인
SK하이닉스, “중국 경쟁당국 원만한 승인 위해 노력할 것”
중국, “쉽지 않지만 승인할 것” vs “또다시 어깃장 가능성↑”
사진=SK하이닉스
사진=SK하이닉스

[한국M&A경제] 싱가포르의 승인으로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이제 양사의 M&A는 중국 한 곳만 남는다. 

21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싱가포르 경쟁∙소비자위원회(CCCS)는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를 무조건부로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중국만 승인하면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는 사실상 마무리에 들어간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8개 심사 대상국 중 7개 국가로부터 무조건부 승인을 끌어낸 것은 매우 긍정적인 결과”라며 “중국 경쟁당국으로부터도 원만한 승인을 받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를 발표한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인수금액만 10조 원이 넘는 대규모 M&A다.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사업부를 최종 인수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가 얽힌 8개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양사의 M&A는 지난해 말에는 미국 연방통상위원회(FTC)의 반독점 심사를, 지난 3월에는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투자 심의를 받으며 긍정적인 출발을 알렸다. 이후 5월 유럽과 한국, 6월 대만, 브라질, 영국 등으로부터 차례로 승인을 받으며 최종 인수하는 데 순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싱가포르까지 양사의 M&A를 승인했고 이제 중국의 승인만 남겨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월 중국 다롄(大連)시와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지난 1월 중국 다롄(大連)시와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사진=SK하이닉스)

마지막으로 승인을 받아야 하는 중국은 SK하이닉스가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으로 꼽힌다. 중국이 양사의 M&A를 승인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반도체 업계의 시각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기업인 SK하이닉스가 미국기업인 인텔의 사업 일부를 흡수하는 것”이라며 “기존의 미국 퀄컴과 네덜란드 NXP 간 M&A, 미국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와 일본 고쿠사이일렉트릭 간 M&A 등의 사례와는 다르다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쟁당국이 주로 M&A 완료 후 관련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나 독과점 여부 등을 심사한다는 점을 봐도 무리 없이 승인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터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시장점유율은 12.0%, 인텔은 7.3%다. M&A 후에도 시장점유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수치라는 게 반도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중국 현지 매체 역시 양사의 합병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에 중국 경쟁당국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이미 지난 1월 중국 다롄(大連)시와 MOU를 체결하는 등 중국 지방정부와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며 “인텔이 다롄 공장을 인수하면 중국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능력 확충, 대규모 인력 고용 등도 기대해볼 만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반면 지난 5월 한∙미 반도체 동맹에 따라 중국이 또다시 어깃장을 놓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당시 SK하이닉스는 10억 달러(약 1조 원)를 들여 미국 실리콘밸리에 인공지능(AI), 낸드솔루션 등 신성장 분야 혁신을 위한 대규모 R&D 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것을 두고 중국 정부가 탐탁지 않게 여길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중국이 미국을 의식해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에 제동을 걸지도 모른다”며 “조건을 내세워 승인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반도체 업계 관계자 역시 “그동안 SK하이닉스가 중국 반도체와 관련해 막대한 투자를 한 점, 친중 인맥을 구축했다는 점 등을 보면 승인 거부 대신 최종심사 발표를 미룰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한국M&A경제=염현주 기자] yhj@kmnanews.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