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30 10:51 (화)
네이버 뉴스 서비스 개편,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네이버 뉴스 서비스 개편,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신문 이현주 기자
  • 승인 2019.11.13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재료 제도 폐지하고 광고 수익 모두 분배
언론사, 경쟁 심해지고 다양성 해칠까 우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 네이버가 내년부터 뉴스 서비스를 ‘확’ 바꾼다. 그동안 언론사에 콘텐츠 사용료를 지불했던 방식을 폐지하고 앞으로 기사에 붙는 광고 수익을 모두 언론사에 배분한다는 게 뉴스 제도 개편의 핵심이다. 

12일 네이버는 ‘2019 미디어 커넥트 데이’를 열고 뉴스 서비스 운영 방향성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지금까지 네이버의 ‘언론사 홈’과 ‘기사 본문’ 영역의 광고 수익은 언론사에 배분했지만 다른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독식했다. 언론사에 콘텐츠 사용료인 ‘전재료’만 지급하고 나머지 광고 수익은 네이버가 모두 챙긴 셈이다. 

하지만 내년 4월부터는 ‘언론사 편집’과 ‘MY 뉴스’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과 ‘기사 본문 중간광고’ 등도 모두 언론사에 돌리기로 했다. 지난 2년 동안 진행해온 언론사 구독 모델로 구독자 수는 1,500만 명, 구독 건수는 7,100만 명에 이르렀다. ‘언론사 편집’과 ‘MY 뉴스’ 영역은 구독자 수와 충성도를 반영하는 영역이라는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내년에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도 도입할 계획이다.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란 뉴스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언론사가 직접 프로필을 디자인하고 섹션, 주제별로 편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독자와 소통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도구라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뉴스 소비자는 본인이 구독하는 언론사나 기자의 기사 또는 연재물이 업데이트되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고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후원도 할 수 있게 된다. 언론사로선 유료화 기능을 도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 기능은 궁극적으로 언론사와 이용자가 잘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네이버는 언론사와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구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트너이며 플랫폼 기능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동반 성장’ 강조하는 네이버에 언론사가 한숨 쉬는 이유?

네이버는 이번 뉴스 서비스 개편으로 ‘동반 성장’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운영 총괄은 “신규 비즈니스 도구를 통해 네이버와 언론사의 지속 가능한 동반 성장을 가속화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개편은 언뜻 언론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언론사의 포털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개편이 언론사가 아닌 네이버에 유리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비용도 줄이고 제휴사를 길들이는 데도 유리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이번 서비스 개편으로 언론사의 포털 의존도가 높아져 오히려 뉴스 품질이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언론사의 광고 수익은 구독 페이지에 일어나는 트래픽을 바탕으로 지급된다. 트래픽은 데이터의 양을 뜻하는 용어다. 트래픽 양이 많다는 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으로 해당 기사를 보는 독자가 많다는 의미다. 

‘언론사 편집’과 ‘MY 뉴스’는 구독자의 충성도가 반영된다는 이 영역만의 특징을 반영해 순방문자수, 조회 수, 누적 구독자 수, 순증 구독자 수, 사용자 충성도, 유효 소비 기사 수를 바탕으로 광고 수익을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단순히 ‘숫자’만 반영하는 게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독자의 충성도를 반영하는 방안이다. 

언론사가 하는 만큼 챙길 수 있는 구조로 변하는 만큼 언론사 간 조회 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다. 기사 클릭 수가 언론사의 수익과 연결되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제목이 달린 기사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전재료 제도를 폐지한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사실상 뉴스 서비스에 손을 떼고 대부분을 언론사에 맡겨버리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 개편에도 여전히 ‘아웃링크’가 아닌 ‘인링크’를 고집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아웃링크는 포털에서 검색한 사이트를 누르면 원래 사이트로 이동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인 반면 인링크는 원래 사이트가 아닌 포털 내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뉴스를 보여줄 때 구글은 아웃링크 방식을 쓰는 반면 네이버는 인링크 방식을 쓰고 있다. 이에 따라 언론사는 여전히 네이버의 울타리 안에 갇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가 뉴스의 공정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네이버와 제휴를 맺은 언론사는 네이버의 뉴스 정책에 따라 유사한 기사를 쏟아낼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지역, 젠더, 장애인 등 소수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언론사들도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네이버는 소규모 언론사를 성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정책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네이버가 미래 성장 동력을 금융, 쇼핑 부문으로 잡은 만큼 뉴스 서비스에선 힘을 빼려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번 정책 개편을 계기로 언론사도 포털 의존도를 낮추고 독립하기 위해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이현주 기자] hzu1212@kmna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