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1:14 (금)
2021년 7가지 세계경제 키워드는? ‘V.A.C.C.I.N.E’
2021년 7가지 세계경제 키워드는? ‘V.A.C.C.I.N.E’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1.01.11 1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신 보급으로 플러스 경제성장 회귀 꿈꾸는 세계 경제∙∙∙V자형 기대감 상승
바이든 신정부, 국제질서 구축과 중국의 자립강화 대응책 격돌
쏟아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 핵심은 환경&디지털∙∙∙부채 위기 우려 고조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 본격적인 백신 보급으로 2020년을 물들였던 코로나19 악몽 극복의 기대감이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11일 2021년 글로벌 경제와 비즈니스 활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일곱 가지 키워드를 ‘V.A.C.C.I.N.E’으로 제시했다.

백신보급의 원년이 될 2021년 7가지 세계경제 키워드는 무엇일까.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Vaccine-Shaped Economy] 세계경제, 마이너스 성장 딛고 기지개 펼까?

코로나19 백신 접종 본격화와 함께 V자형 세계경제 회복 기대가 커지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 WB)의 ‘2021년 세계경제전망’(World Ecomonic Outlook 2021)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경제는 -4.3%의 역성장에서 올해 4%의 경제 반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등 민간 투자은행은 이보다 더욱 낙관적인 6% 대의 확연한 V형 경제성장을 예고하면서 백신 보급 추이가 세계경제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 접종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성장률이 미국의 경우 최대 4.8%에서 최저 1.8%까지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생산을 회복한 중국이 7.9% 성장으로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올해 3.6% 성장이 전망되는 유로존(Eurozone)은 작년 -7.4%의 경제성장을 보이며 세계 최저수준 침체기를 보였다. 반면 반등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개도국의 경우 백신 보급 속도가 낮아 3.4%인 신흥국 성장률이 4.7%인 G20 국가보다 낮은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동시에 코로나 타격이 적은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는 각각 6.7%를 기록하는 등 아시아 일부 신흥국은 새로운 밸류체인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제비즈니스의 완전한 정상화는 2021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America is Back] 주장의 귀환, 국제통상 ‘개인전’→‘단체전’

바이든(Biden)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이 국제통상체제를 주도하는 선도력을 회복하면서 자유진영간 동맹이 강조될 전망이다.

우선 미국의 WTO(세계무역기구)를 비롯한 다자체제 복귀로 일방적인 관세부과를 통한   무역보복 등 양자적 조치가 아닌 다자시스템 하에서의 예측가능한 통상질서가 강화될 전망이다. 미국이 WTO 상소기구 재정비를 비롯한 개혁에 실질적으로 동참하면서 중국과의 양자전이 아닌 우호진영과의 연합전선을 구축해 공동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일본,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지역 동맹국간 관계와 멕시코∙EU(유럽연합) 등 악화됐던 동맹국과의 관계 회복 노력도 점쳐진다.

올해 미국은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재협상 등 통상협정 참여에도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작년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협상과 같이 노동∙환경 기준의 대폭 강화가 예상된다. 다만, 코로나19에 따른 미국 내경제 회복 우선순위에 따라 대외통상협정은 후순위로 밀릴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Crazy Debt] 역사상 최저 금리∙최대 부채의 시대

IIF(국제금융협회)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2020년 말 글로벌 부채가 역사상 최대치인 약 277조 달러(한화 약 30경 원) 규모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시에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집행한 주요국의 공공부채도 크게 늘어났다.

미국 등 선진경제의 2021년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부채는 2019년 대비 20.3%포인트 증가한 125.6%에 육박할 전망이다. 또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미국 FRS(연방준비제도)의 제로금리를 토대로 전 세계적인 역사상 최저금리 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전경련은 “제로금리와 지속적인 정부지출 확대가 유지됨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 과잉으로 인한 부채 위기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궁극적으로 금리상승 및 긴축의 시간이 다가오면 기초체력이 부족한 국가가 부담할 사회, 경제적 고통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China Will Fire] 중국, 개혁개방에서 와신상담 시대로

중국은 장기적인 패권경쟁에 맞서 반격을 준비할 모양새다. 전경련은 “지난 40년간의 개혁개방 시대에서 내부 역량강화 및 국가 현대화의 시대로 본격 전환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제5개년계획」은 크게 국내대순환과 국제대순환의 쌍순환을 핵심으로 한다. 국내대순환은 내부 자립 공급망을 건설해 미국∙유럽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반도체 등 필수기술 자립을 이룬다는 것이 골자다. 국제대순환(대외개방)은 수출과 함께 중국의 거대 내수시장을 개방해 외투기업들의 대(對)중국 의존도를 높여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전경련은 “작년 전세계적인 경기침체에도 2% 성장을 보인 중국경제가 올해에도 7.9% 성장이 전망되는 등 내수시장 강화를 발판으로 국제무대에서의 영향력 강화가 계속될 것”이라며 “이런 중국의 반격에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Investment in ESG] ESG 투자, 코로나 특수로 날개 달다

투자 의사결정 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표를 평가하는 세계적인 흐름이 코로나19 이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GSIA(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이 지난 12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글로벌 ESG 투자자산 규모는 2020년 40조 5,000억 달러(한화 약 4경 5,000조 원)까지 도달하며 지속 증가해 왔다.

코로나19 타격으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ESG 고등급 기업이 수익 측면에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신용평가기관 S&P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ESG 펀드 17개 중 14개가 1.8~20.1%의 수익률을 보였다. S&P500 평균수익률 1.2%를 뛰어넘기도 했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코로나19 본격 확산기간 중 2,660개사 주가수익률 분석 결과에 따르면 ESG 평가 등급이 높을수록 이에 비례해 높은 주가수익률을 나타냈다.

출처: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출처: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

[New Deal is Everywhere] 각국 뉴딜정책, 그린∙디지털 전환이 핵심

세계 각국이 본격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1년 시행되는 전세계 코로나19 경제대책을 아우르는 공통적인 테마는 ‘그린∙디지털 뉴딜’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EU의 경우 경제회복기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제회복 및 복원력 강화 프로그램(Recovery and Resilience Facility)의 최소 37% 이상을 그린 연관 투자에, 20% 이상을 디지털 전환에 투자한다. 일본도 그린∙디지털 기금이 포함된 2021년 경기부양책을 발표하며 스가 총리가 코로나19 이후의 경제구조 전환을 위해 그린산업 및 디지털화 촉진으로 성장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을 강조했다.

[Environment is the New Economy] 무역∙세금까지 침투한 탄소 경제

2021년 신기후체제(파리협정)가 출범했다. 미국이 시의 적절히 파리협정에 복귀하면서 저탄소경제 전환의 변곡점이 마련될 전망이다. 미국과 EU가 주도해 온 기후변화 어젠다에 최근 한∙중∙일이 모두 2050년까지의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국제사회의 참여도 광범위해졌다. 프랑스, 독일, 영국 등 EU 주요 선도국은 탄소중립을 법제화하고 있다.

기업활동에 직격탄이 될 환경규제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EU는 올해 1월부터 플라스틱세(Plastic Tax)를 시행하며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 도입도 예고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도 저탄소 이행과 무역협정을 연계하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한편 세계 최대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은 2020년부터 석탄사용 매출이 25%가 넘는 기업의 채권, 주식 처분을 시작했다.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염현주 기자] yhj@kmna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