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11-01 13:49 (금)
[스톡경제와 M&A] “장래성 있는 기업 우대받을 것”∙∙∙한국 M&A 시장 전망은?
[스톡경제와 M&A] “장래성 있는 기업 우대받을 것”∙∙∙한국 M&A 시장 전망은?
  • 박진우 기자
  • 승인 2021.04.23 1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톡경제 진입∙∙∙기업 자체가 투자 자산
“기업 도산보다는 M&A 통한 존속 유익”
가업승계 시 조세감면 제도 필요

[한국M&A경제] 최근 코로나19 위기와 경기 침체로 기업가치가 하락하고 있다. 반면 코로나19에 적응해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인수합병(M&A) 시장에 활력이 붙고 있다.

김규옥 한국M&A협회장은 지난 20일 ‘스톡경제와 M&A 전략’을 주제로 열린 제365회 선명부동산융합포럼에서 “스톡경제가 진행될수록 수익을 발생시키는 기업 자체가 투자자산으로서 거래가 활발해질 것”이라며 “안정적 수익이 예상되는 기업보다 장래성을 가진 기업이 더 우대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규옥 회장이 밝힌 한국 M&A 시장 전망은 어떨까.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한국 M&A 활성화를 기대하는 이유

김규옥 회장은 부실기업 또는 좀비기업이 많은 점, 1세대 창업자의 고령화, 급속한 산업구조조정, 제조업에서 디지털 산단으로의 변화 등 4가지 이유로 한국 M&A 시장이 활성화할 것으로 보았다. 이 경우 모두 이 상태로 기업이 없어지거나 M&A 시장에 등장하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그는 “국가적으로 볼 때 기업이 없어지는 것보다는 M&A를 통해 기업을 존속시키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반면 M&A 활성화에 장애요인도 존재한다. 먼저 회계가 불투명하고 노사관계가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특히 노사 관계에서는 M&A 후 합병된 기업 간 기업문화가 다르면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성공사례가 희소하다는 것도 장애요인으로 지적했다. 김 회장은 “한국의 경우 현대차와 기아차를 제외하면 합병 후 긍정적인 효과를 낸 기업이 거의 없다”며 “관련 기술이 부족했다는 점도 한몫한다”고 말했다.

정보나 협상 능력을 보강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 즉, 거래중개 인프라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일본은 2012년 정부와 지자체가 사업인계지원센터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김 회장이 제시한 사업인계지원센터 지원 실적에 따르면 2012년 7개 불과했던 센터 수가 2018년 기준 48개로 늘었다. 6년 사이 7배 증가한 셈이다. 김 회장은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 내 중소기업 수가 484만 개에서 334만 개로 감소했다”며 “일본 정부는 감소한 원인을 경영자의 고령화와 후계자의 부재로 보고 기업을 어떻게 승계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채권 금융기관의 보신주의, 법정관리 등 법원의 소극성, 고용 유지 압력 등 과감한 구조조정 어려움, 조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을 장애요인으로 짚었다.

전 세계 분기별 M&A 추이 (단위: 조 달러) (사진=리피니티브, FT)
전 세계 분기별 M&A 추이 (단위: 조 달러) (사진=리피니티브, FT)

◇M&A 시장에서 주목받는 업종은?

김 회장은 가업승계에 대한 조세감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로서는 가업승계 시 동종업종 또는 기업이 존속할 때만 조세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김 회장은 “기존사업 매각 후 상응하는 신사업으로 고용창출하면 가업승계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 회장은 M&A 시장에서 부각되는 업종으로 바이오, 언택트 등 코로나와 관련된 업종을 꼽았다. ESG도 M&A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무엇보다 김 회장은 ESG 분야에 당사자가 직접 회사를 출범시키는 것보다 이미 갖춰진 기업을 인수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신세대가 선호하는 플랫폼 기업, 스마트 산업, 모빌리티 등에서 M&A 수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또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는 자동차 산업이나, 농∙수산업, 소매금융, 섬유 소재 등 수익이 약화되는 업종도 M&A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김 회장은 “대한항공, 현대차, 쌍용차, 삼성전자 등 대기업 중심으로 대형 빅딜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기술혁신 목적의 해외 M&A와 M&A형 외국인 직접투자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M&A경제=박진우 기자] pjw@kmnanews.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