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1:14 (금)
차세대중형위성 1호 3월 발사∙∙∙6월 이후 본격 정밀지상관측영상 제공
차세대중형위성 1호 3월 발사∙∙∙6월 이후 본격 정밀지상관측영상 제공
  • 강철현 기자
  • 승인 2021.01.22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 출발∙∙∙약 2개월간 발사 준비 과정 거쳐
국민 삶의 질 향상 관련 정밀지상관측영상 신속하게 제공
차세대중형위성 1호 상상도.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중형위성 1호 상상도.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한국 시간으로 오는 3월 20일 오후 3시 7분경 발사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부)와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 이하 국토부)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Baikonur Cosmodrome)에서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22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임철호, 이하 항우연)을 출발해 현지기준 1월 24일 발사장인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 도착한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러시아 JSC 글라브코스모스(JSC Компания Главкосмос)의 소유즈(Soyuz) 2.1a 발사체로 발사하게 된다. 발사 후 고도 497.8km의 궤도에서 약 2개월의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2021년 6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는 500kg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 확보 및 정밀지상관측용(흑백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했다.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kg급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중형위성 3기(3호 우주과학∙기술검증,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관측)를 국산화해 개발하는 사업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중형급 위성 표준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탑재체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공공분야의 관측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위성개발 기술의 산업화를 위해 주관부처인 과기부와 주활용부처인 국토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 독자 개발된 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이다.

주관기관인 항우연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을 통해 중형위성급 시스템 및 표준본체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체에 성공적으로 이전해 해외 기술에 의존해왔던 정밀 광학탑재체를 국내 독자 모델로 국산화했다. 특히 국산화된 정밀지상용 광학탑재체는 국내 독자모델로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대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100kg이상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했다. 차세대 기술인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방식의 영상자료처리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무게와 비용을 절감하고 저장용량을 증대했다.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와 연구기관을 통해 개발함으로써 높은 국산화를 달성했다. 이창윤 과기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발사되면 효율적인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적기에 신속한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1호 개발을 통해 항우연이 확보한 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통해 후속 중형위성(2∼5호)의 전체 시스템을 국내 산업체가 주관해 개발함으로써 국내위성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강철현 기자] kch@kmna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